쥬피터 노트북 실습환경 안내

이번 과목에서는 TensorFlow 학습을 위해 쥬피터 노트북 실습 환경을 활용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기본적인 실습 환경 사용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목차

  1. 쥬피터 노트북이란?
  2. 쥬피터 노트북 사용 방법
    • 2-1. 실습 파일 열기
    • 2-2. 실습 파일 실행
    • 2-3. 실습 파일 저장
  3. 추가로 알면 좋은 기능
    • 3-1. 단축키
    • 3-2. 더 알아보기

1. 쥬피터 노트북이란?

쥬피터 노트북이란,웹 브라우저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볼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image

쥬피터 노트북에서는 셀 단위로 실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코드 실행을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2. 쥬피터 노트북 사용 방법

2-1. 실습 파일 열기

먼저 각 텐서플로우 튜토리얼에 해당하는 실습 파일을 여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먼저 학습하고 싶은 텐서플로우 튜토리얼 실습을 클릭합니다.
    • 쥬피터 노트북 실습 환경 연결을 위해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image.png

  2. 튜토리얼의 제목과 동일한 이름의 실습 파일이 목록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해당 파일을 클릭합니다.

image.png

  1. 파일이 열렸는지 확인합니다.

2-2 실습 파일 실행

실습 파일을 성공적으로 열었다면, 파일 내의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셀의 종류

셀의 종류는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셀과 다양한 설명,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는 마크다운 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드 셀에서는 코드 입력과 코드가 입력된 셀 실행을 통한 결과 확인이 가능합니다.
코드 실행 결과는 코드 셀 바로 아래에 출력됩니다.

또한, 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고 싶을 때는 마크다운 셀 대신 코드 셀 내부에 주석으로 적기도 합니다.
간단한 주석은 # 으로, 긴 주석은 “”"”주석 내용””” 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 Code 셀입니다. 
# Code 셀안에 간단한 설명을 적고 싶을 때는 #으로 주석을 적습니다.

"""
긴 내용의 주석을 적을 때는 이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print("Hello Jupyter notebook!")
Hello Jupyter notebook!

마크다운 셀에서는 코드에 대한 긴 설명,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 등 이미지, 강조, 링크 추가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튜토리얼 실습 내에 테스트 링크와 같이 파란색으로 표시된 글을 클릭하면 해당 글과 관련된 링크의 웹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마크다운 셀입니다.
다양한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지도 첨부할 수 있습니다.

셀 단위로 실행하기

쥬피터 노트북의 최대 장점인 셀 단위로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셀 단위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행을 원하는 셀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셀은 셀 왼쪽에 표시된 색상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상단 바의 Cell -> Run Cells 클릭 시 선택된 해당 셀이 실행됩니다.

print("상단바를 이용해 실행해보세요!")
상단바를 이용해 실행해보세요!

실행이 완료되면 왼쪽 In[1] 과 같이 실행된 셀의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가 표현됩니다. 1은 첫번째로 실행된 셀이라는 의미입니다.

셀 실행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바로 단축키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Shift + Enter : 선택된 셀 실행 + 다음 셀 선택(다음 셀이 없을 경우 새로운 셀을 생성합니다.)

Ctrl + Enter : 선택된 셀 실행

# 단축키를 이용해 실행해보세요!
for i in range(3):
    print("편리한 단축키!")
편리한 단축키!
편리한 단축키!
편리한 단축키!

전체 한번에 실행하기

셀 단위가 아닌 전체 셀을 한번에 실행하고 싶을 때는 상단바의 Cell -> Run All 을 클릭합니다.

다양한 실행 방법

이 밖에도 Cell 상단바에서 선택된 셀 이전 모든 셀 실행(Run All Above), 선택된 셀 이후 모든 셀 실행(Run All Below) 을 통해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2-3. 실습 파일 생성

업로드 되어 있는 실습 파일 대신 새로운 실습 파일을 생성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노트북 연습장 실습을 클릭합니다. 혹은 각 튜토리얼 실습에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2. New -> Python3 을 클릭합니다.
  3. 새롭게 생성된 실습 파일의 제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4 . 실습 파일 저장

튜토리얼 파일을 실행하며 학습한 내용을 마크다운 셀을 추가하여 메모하거나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싶을 경우 변경 내용을 잃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저장하기

  1. 상단바의 File -> Save and Checkpoint 를 클릭합니다. 혹은 Ctrl+ s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checkpoint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1. 상단바의 File -> Save as... 를 클릭합니다.
  2. 저장하고 싶은 파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3. 설정한 이름의 파일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파일로 다운로드 받기

쥬피터 노트북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싶은 경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File -> Download as... -> 다운로드 받기 원하는 파일 유형을 클릭합니다.

추가로 알면 좋은 기능

3-1. 단축키

다양한 단축키를 이용하면 쥬피터 노트북을 사용이 더 편리해집니다.

상단바의 Help -> Keyboard Shortcuts 를 클릭하면 다양한 단축키를 알 수 있습니다.

상단바의 Help -> Edit Keyboard Shortcuts 를 클릭하면 기존 단축키를 더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3-2. 더 알아보기

쥬피터 노트북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쥬피터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